본문 바로가기

제사

(2)
2022 설날 명절 제사 지방 쓰는 법, HWP 양식 2022 설날 명절 제사 지방 쓰는 법, HWP 파일 매년 명절이되면 제사 지방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헷갈리곤 하는데요. 지방 종이는 한지를 대신해 컴퓨터에 저장해둔 파일을 A4 용지로 출력 후 가로 6cm, 세로 22cm 규격으로 잘라 사용하면 됩니다. 지방 내용은 크게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남편, 아내로 구분되고 남성은 학생 부군 신위가 공통으로 사용되고 여성은 유인 본관 신위라는 단어가 함께 쓰입니다. 사용할 고인을 선택하면 지방 HWP 파일을 받을 수 있고 사용 방법은 서식으로 만들어둔 가로세로 규격에 고인의 본관만 기재해서 즉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추석 명절 지방 쓰는 법을 참고하면 됩니다. 할아버지 : 현고조 학생 부군 신위 할머니 : 현조비..
추석 제사 지내는 법 추석에 조상께 감사를 드리는 의미로 차례를 지내는데요. 오래전 제사를 자주 할 때는 익숙해서 상관없었지만 지금은 1년에 많아야 1~2번 있어 차례를 어떻게 지내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추석 제사 지내는 순서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추석 제사 용어 추석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용어는 한자로 되어 있어 이해하기가 힘든데 알고 있으면 편리합니다. 제주 : 제사를 주관하는 장자 집사자 : 차례를 돕는 사람 모사기 : 강신 할 때 술을 버리는 그릇 신위 : 죽은 사람을 모셔두는 위패 지방 : 조상을 종이에 적은 것 추석 제사 지내는 법 강신: 제주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가 술을 따르면 모사기에 술을 세 번에 걸쳐 나누어 버린다. 제주가 2번 절합니다. 참신 : 조상을 맞이하는 것으로 참여..